현장선 환자 못 받을까 전전긍긍 지역은 이미 심각한데, 추석연휴 우려 커
정부 응급실에 군의관·공보의 파견추석 연휴에는 당직병원 4천여곳 운영
누적된 피로로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이 잇따라 사직하고, 의사 인력 부족으로 인해 배후 진료가 원활히 제공되지 않는 상황이 겹치고 있다는 지적이다.해당 분야 전문의가 환자에게 필요한 수술이나 치료를 제공할 수 없는 한 응급실에 병상이 있어도 환자를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예컨대 중증 외상 환자가 응급실에 방문하면 응급의학과 의사뿐만 아니라 필요한 수술을 할 수 있는 외과 의사가 있어야 하고, 심근경색 환자는 결국 심장내과 또는 흉부외과 의사가 있어야 한다.수도권의 한 응급의학과 전문의 B씨는 응급실 의사들이 단순히 힘들어서 환자를 안 받는 게 아니라며 배후 진료가 되지 않으면 환자를 받으려고 해도 받을 수가 없는데, 그 부분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의료계는 특히 지역의 응급의료 위기가 이미 심각한 수준이라고 토로한다.서울의 경우 애초 병의원 등 의료기관이 많은 편이고 인력 운영도 지역보다는 나은 편이지만, 지역에서는 배후진료 위기로 환자들이 이미 권역을 넘나들면서 진료받을 병원을 찾아 헤맨다는 것이다.지역의 한 상급종합병원 교수 C씨는 병원이 많은 서울이야 어떻게든 되겠지만, 지방은 몹시 어렵다며 정부가 당장 응급실에서 경증을 보지 말라고 하는데, 그러면 지방의 경증 환자들은 갈 곳이 없다고 말했다.C교수는 목에 가시가 걸린 환자는 경증이라 대학병원에서 받을 수가 없는데, 지방에 있는 2차 병원은 밤에 의사가 없다. 이러면 일반 환자들은 꼼짝없이 갈 곳이 없어 헤매야 하는 것이라며 중증을 받아야 하니까 돌려보내기는 하는데, 답답할 노릇이라고 덧붙였다.지역에서 시작된 응급의료 위기가 서울까지 번지는 게 아닌지에 대한 위기감도 고조되고 있다.A씨는 당장 서울에 있는 큰 병원 응급실은 버티고 있긴 하지만, 길어지면 어떤 것도 장담할 수 없을 것이라며 응급실은 물론 배후진료를 제공할 인력이 부족한 탓에 문을 닫지 않더라도 못 받는 환자는 계속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빅5 병원 소속 응급의학과 D교수 역시 지금도 응급실이 24시간 진료는 하되, 경증환자가 아닌 중증환자 위주로 보면서 겨우겨우 지탱하고 있지 않으냐며 서울에서도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의 사직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운영을 중단하는 병원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서울에서도 현 상황이 길어지면 한두 개 응급실이 폐쇄될 가능성이 있겠지만, 그게 지방만큼 큰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지금 문제는 지방이 훨씬 심각하다고 전했다.머지않은 추석 연휴를 향한 우려도 적지 않다.우선 경증 환자를 분산하는 게 관건이지만, 정작 이들을 어떤 병의원에서 수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대책도 마련돼있지 않은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박준범 순천향대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응급실의 진료역량이 이미 크게 떨어져 있는 상태라며 지금 얼굴 부위 단순봉합 같은 건 하지 않는 응급실이 워낙 많아서 연휴에는 더 갈 곳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경증환자라고 해도 어디선가에서는 치료받아야 하지 않느냐며 그냥 경증환자를 응급실 못 오게 한다고 해결이 아니다. 환자들이 고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어서 그 부분이 가장 걱정이라고 덧붙였다.정부는 응급실이 붕괴 수준에 이른 것은 아닌 것으로 파악하면서도, 추석 연휴를 앞두고 지방자치단체 등과 함께 비상진료체계를 점검하고 있다.정부에 따르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전국 지자체에 '재난관리기금'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지역 응급진료를 유지할 것을 요청했다.정부 관계자는 당직비 등 인건비 등을 지급하기 위해 재난관리기금을 활용하자는 것이라며 지자체 차원의 재원도 활용해서 응급실을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고 전했다.재난관리기금은 각종 재난 예방과 복구에 드는 비용을 부담하기 위해 지자체에서 매년 적립해 두는 법정 의무 기금을 말한다.정부는 응급실 방문 환자가 급증하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응급의료 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는 방침이다.우선 응급실 운영이 일부 제한된 의료기관에 총 15명의 군의관을 이달 4일 배치하고, 9일부터 8차로 파견될 약 235명의 군의관과 공보의를 위험기관 중심으로 집중 배치한다는 계획이다.박민수 복지부 2차관은 지역별로 응급 또는 후속 진료가 가능한 의료인력을 공유하고, 순환당직제 대상 확대를 통해 지역의 응급의료 수요를 적시에 해결하겠다며 9월 11∼25일을 추석 명절 비상응급 대응 주간으로 운영해 중증·응급환자 진료 차질을 최소화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정부는 또 올해 설 연휴보다 400여곳이 더 많은 4천곳 이상의 당직 병의원을 이번 추석 연휴 기간에 지정할 계획이다.
당직 병의원 신청이 부족할 경우 응급의료법에 따라 복지부 장관, 시도지사, 시군구 청장이 의료기관 종류별, 진료 과목별로 당직 기관을 별도로 정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