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임금 첫 200만원 돌파…정규직과 175만원 차이 '역대 최대
비정규직 근로자 중 시간제 근로자 비중은 50.3%로 2.6%p 상승했다. 시간제 근로자 비중이 50%를 넘어선 것은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역대 가장 높다.시간제 근로자는 동일 사업장에서 같은 일을 하는 근로자의 소정 근로시간보다 1시간 이상 짧은 근로자를 말한다.통계청 임경은 고용통계과장은 본인이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시간만큼 일하는 부분을 선호하는 추세가 청년층이나 고령층 부가조사를 통해서도 보이는 부분들이 있다며 (시간제) 일자리의 공급도 많아지고 수요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실제 비정규직 근로자 중 자발적인 사유로 비정규직을 선택했다는 비율은 작년 같은 달보다 1.0%p 상승한 66.6%로 역대 최고였다.자발적 사유 중에서는 근로조건 만족이 59.9%로 가장 많았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안정적인 일자리(21.6%)가 그 뒤를 이었다. 안정적인 일자리 비율은 작년보다 0.6%p 높아졌다.시간제 등 비정규직 일자리의 근로 시기·시간 등에 만족하고 이를 안정적으로 느끼는 비중이 늘고 있다는 의미다.비정규직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27.6시간으로 역대 가장 짧았다.비정규직 중 한시적 근로자는 562만8천명으로 36만9천명 늘었다.
비전형 근로자는 190만3천명으로 5만4천명 감소했다.비정규직의 현 직장에서의 평균 근속기간은 2년 10개월로 역대 가장 길었다.비정규직 근로자의 최근 3개월 월평균 임금은 204만8천원으로 9만1천원 증가했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이 200만원을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정규직 근로자는 379만6천원으로 17만3천원 늘었다.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차이는 174만8천원이었다. 이는 역대 가장 큰 격차다.다만 정규직 임금 대비 비정규직의 비율은 54.0%로 작년과 동일했다.시간제 근로자를 제외한 비정규직의 임금은 295만7천원으로 정규직과 83만9천원 차이가 났다. 이는 2018년 8월(82만5천원) 이후 최소 격차다.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