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3개 유역 수질환경개선 정밀 모니터링 결과 91% 목표 수질 ‘충족’

이현진 / 기사승인 : 2025-01-22 06:21:24
  • -
  • +
  • 인쇄
- 미호강, 대청댐 상류, 달천 86개 지점 중 9개 지점 중점 관리 필요 - [충북 세계타임즈=이현진 기자] 충청북도보건환경연구원(원장 임헌표)은 지난 9월 충북도의 ‘수질 개선을 위한 오폐수와의 전쟁’ 선포 이후 미호강, 대청댐 상류, 달천 유역 86개 지점을 선정하여 매월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모니터링 지점은 기존에 운영하고 있던 수질 측정망 55개 지점과 수질관리를 위해 추가로 선정한 31개 지점이다. 총 86개 지점 중 78개 지점, 약 91%가 목표 수질*을 충족하였으나, 9개 지점(8개 하천)은 목표 수질 기준 미달로 중점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점 관리가 필요한 하천은 미호강 유역의 칠장천(IV), 무심천(III), 냇거름천(Ⅲ), 도청천(Ⅲ), 성산천(Ⅲ), 한천(Ⅴ) 6개 하천과 대청댐 상류 지역의 영동천(Ib), 옥천천(Ib) 2개 하천으로 나타났다.

이들 하천은 미호강 중권역 목표 수질인 약간 좋음(II)과 대청댐 상류 중권역 목표 수질 매우 좋음(Ia) 등급을 초과한 하천이다. 이들 8개 하천과 하위 지류하천 13개 하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주변 오수정화시설, 폐수배출시설 및 축산분뇨 관리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중권역별 수질 및 수생태계 목표 기준
  미호강 : 약간 좋음(II), 대청댐 상류 : 매우 좋음(Ia), 달천 : 좋음(Ib)

향후 충청북도보건환경연구원은 2024년 연간 측정자료를 바탕으로 월별 수질 변동 폭이 커 오염원의 영향에 취약한 하천을 추가 발굴할 예정이다. 수질 개선을 위한 과학적 분석자료는 맞춤형 수질 개선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도록 유관기관에 제공할 계획이다.

보건환경연구원 조성렬 환경연구부장은 “지역 내 하천의 수질 개선은 도민의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라면서, “연구원은 도내 하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담당 시·군과 긴밀히 협조하여 오염원 파악 및 개선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하천수 수질등급 판정기준 :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별표1] 환경기준에 따라 하천 생활환경기준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을 기준으로 매우좋음(1 이하), 좋음(2 이하), 약간 좋음(3 이하), 보통(5 이하), 약간나쁨(8 이하), 나쁨(10 이하), 매우나쁨(10 초과)으로 분류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