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세계타임즈 이현진 기자] 충청북도의회 산업경제위원회(위원장 연종석)는 16일 도의회 회의실에서 ‘충북 농산물 유통실태 및 가락시장 내 '충북공익형시장도매인' 개설 필요성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충북의 농산물 유통 활성화를 위해 충북 유통구조를 점검하고 충북공익형시장도매인 도입에 대한 논의를 위해 마련된 이번 토론회는 이상정(음성1) 의원이 좌장을 맡아 ㈜아이엔케이대표 현종기 대표와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유통연구팀 안탁 부장의 발제 내용을 중심으로 토론을 진행했다.
발제에서는 지역 농산물이 지방농산물 도매시장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물량은 대도시 도매시장에 비해 미약한 한계를 짚고 시대 변화에 따라 국내 농산물 도매시장 구조개선 필요성과 농산물 유통과 물류를 총괄하는 플랫폼을 구축해 다원화된 유통채널 대응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에 전농 충북도연맹 김남운 정책국장은 현재 농산물 유통 구조는 농민들에게 이익이 돌아오지 않는다며 건설 예정인 청주농수산물도매시장에 시범적으로 공영시장도매인제 도입을 주장했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백혜숙 전문위원은 농산물이 몰리는 가락시장 경매회사의 독점적 수탁권과 현 경매제가 농산물 가격 불안정의 원인이라며 농산물 가격안정을 위해서는 가락시장에 다양한 유형의 시장도매인 도입을 추진하여 공정한 경쟁체제를 활성화 하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충북먹거리연대 이창흔 간사는 과도한 수수료, 출하처 확보 미흡 등 현재 도매시장의 문제점들을 꼬집으며 기존 거래중심의 운영에서 물류중심으로 체계를 변화하고 소비자의 욕구에 맞춘 다양한 형태의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여야한다고 말했다.
이봉준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이봉준 유통관리팀장은 ‘공익형 시장도매인’이 도입될 경우 소비자 신뢰 확보와 유통마진 절감을 통한 저렴하고 안정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농산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며 공익형 시장도매인의 도입을 주장하였다.
황규석 충청북도 농식품유통과 유통정책팀장은 현 도매시장 거래제도의 문제점은 같이 인식한다며 향후 농업인에게 실직적인 이익이 돌아 갈 수 있도록 도 차원의 정책 개선에 노력하겠다고 하였다.
이상정 의원은 “어떤 정책이든 농산물이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되고 농민에게 이익이 돌아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충북 농산물 유통에 다양한 논의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가 서로 이익을 누릴 수 있는 방안이 찾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