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심 비율은 결정은 비대위로 원내 20% 선호, 일부 주자군 30%↑ 주장도
비대위는 촉박한 전대 일정을 고려해 조속히 향후 절차를 진행한다는 방침이지만, 당원권 약화 우려나 잠재적 당권주자군의 반발이 커질 경우 결정이 유보될 가능성도 있다.비대위는 총선 참패 이후 당 대표 경선에서 민심과 당심이 함께 반영돼야 한다는 요구에 따라 당헌·당규 개정을 추진했다.궁극적으로는 민심을 반영하는 쪽으로 결론이 날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지만, 그 세부 반영 비율을 놓고는 특위뿐 아니라 지도부 내에서도 의견이 갈리는 상황이다. 원내에서는 8대 2를 적정 수준으로 보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황우여 비대위원장은 일단 4선 이상 중진, 비대위원들과 각각 간담회를 열어 특위 초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중진 간담회에서는 참석자 14명 중 과반이 8대 2를 선호했고, 현행 당원투표 100%를 유지하자는 주장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7대 3을 명시적으로 주장한 의원은 서너명에 그쳤다는 전언이다.잠재적 당권주자로 분류되는 윤상현·안철수 의원은 민심 비율 30% 아래로 내려가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안 의원은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25%)보다 낮은 비율은 당의 반성, 변화 의지를 보여주기에 부족하다고 지적했고, 윤 의원도 특위 결론이 실망스럽다며 민심 반영 비율이 충분하지 않다고 평했다. 비대위원 간담회에서도 결론이 나오지는 않았다. 한 참석자는 큰 틀에서 민심을 반영하는 당헌당규 개정에 공감대를 이뤘지만, 세부 비율은 내일 회의에서 다시 논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