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타임즈 이채봉 기자]정의당이 12일 상무위원회를 열고 민주평화당과의 공동교섭단체 협상 개시에 뜻을 모으면서 교섭단체 구성이 ‘9부 능선’을 넘게 됐다.
정의당 지도부가 당내 설득을 마치고 오는 17일 전국위원회의 최종 승인을 받아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하면, 그동안 비교섭단체라는 이유로 국회 운영과정에 참여하지 못했던 ‘설움’을 겪어온 두 당 모두 의사 결정 과정에서 상당한 힘을 얻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정의당은 전날 긴급 의원총회를 열고 시간을 정해두지 않은 ‘끝장토론’을 한 결과 공동교섭단체 구성을 적극 추진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다. 이에 상무위에서는 전국위에 최종 승인을 받기로 결론 내렸다.
이날 추혜선 수석대변인에 따르면 전국위에서는 일단 공동교섭단체 구성을 위한 협상을 개시하는 수준에서 의결이 이뤄질 예정이다. 추 수석대변인은 “그 이후 협상 결과에 따라서 의원단과 상무위, 전국위에서도 최종 승인하는 절차는 남아 있다”며 “구체화되면 (당원들을 설득하는 문제도) 예측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공동교섭단체 구성 여부, 공동교섭단체 구성을 위한 당내 의사 결정 과정 등에 대해 당내에서 일부 이견이 있어 당원 설득 여부가 관건이다.
이 같은 장애물을 넘고 두 당이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하게 되면 국회 의사일정 협의에 참여할 ‘권한’을 얻게 된다. 일정 뿐 아니라 본회의에 올라갈 안건을 정하는 자리에도 참여할 수 있게 된다. 또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할 경우 상임위원장 한 자리를 확보할 수 있고, 각 상임위 간사로 참여할 수 있는 권한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두 당은 향후 국회 내 법안, 예산 등 처리 과정에서 노동·여성·환경 등 진보세력과 호남 지역 목소리가 종전보다 많이 반영될 것으로 기대된다. 선거제도 개편이나 개헌 등의 이슈에 있어서도 공동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장병완 평화당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들과의 오찬에서 “공동교섭단체가 되면 양 당이 독립성을 철저히 유지하는 게 전제”라고 밝혔다. ‘정체성 훼손’은 없을 것임을 재차 강조한 것이다.
그는 공동교섭단체 대표나 상임위원장을 누가 맡느냐는 질문에는 “정의당에서 공식적인 동의가 있으면 양 쪽에서 실무적인 협상은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누가 (공동교섭단체) 대표를 하고, 대표를 맡지 않는 당에서 상임위원장을 차지해야 하지 않겠나”며 “자연스럽고 원칙적으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