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번 포럼은 최근 과학기술외교 환경변화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우리 정부의 중장기 과학기술외교의 전략적 방향성과 데이터·정보통신·인공지능 분야의 시사점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포럼 1부에서는 장용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을 좌장으로 ▲이동규 외교부 기후환경과학외교국장 ▲유준구 국립외교원 교수 ▲김승환 포항공대 교수 ▲김소영 KAIST 교수 ▲박지영 (사)경제사회연구원 기술정책센터장이 패널로 참석해 신정부의 과학기술정책 기조와 과기외교의 전략적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포럼 2부에서는 박종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위원을 좌장으로 ▲김성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제협력관 ▲조원영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AI정책연구팀장 ▲한상욱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양자정보연구단장 ▲김형수 KT 융합기술원 양자인프라혁신팀장 ▲김원준 KAIST 교수가 패널로 데이터ㆍ정보통신ㆍ인공지능(D.N.A) 분야 과기외교 현안과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상민 의원은 “기술패권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신기술 안보가 새로운 국가적 위협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신기술 안보 대응ㆍ국제 규범 주도 등 기술 패권시대 과학기술 글로벌 리더십 강화 위한 외교적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