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세계타임즈 이영임 기자] 전북 정읍에서 두 자녀의 어머니였던 故 이미수 집사를 기리는 3주기 추모식이 지난 6월 16일 조용히 거행됐다.
16일 신천지예수교 도마지파 故 이미수 집사를 추모하고자 마련된 분향소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도마지파(지파장 최중일·이하 신천지 도마지파)는 교회 내에 분향소를 마련하고 성도들과 함께 고인을 추모하는 묵념의 시간을 가졌다.
고인은 가족과 신앙 공동체 내에서 따뜻하고 성실한 삶을 살았다. 참석한 성도들은 고인의 삶과 신앙을 회상하며 눈시울을 적셨고, 유족에게 깊은 애도와 위로를 전했다.
한 성도는 “늘 미소로 사람들을 맞이하던 집사님의 모습이 지금도 선하다”며 “아직도 함께 계신 것처럼 느껴진다”고 추모했다.
또 다른 성도는 “항상 누군가를 먼저 챙기던 따뜻한 분이었다”며 “그 마음과 흔적이 아직도 교회 곳곳에 남아 있다”고 회상했다.
16일 신천지예수교 도마지파 故 이미수 집사를 위해 교인들이 추모하고 있다.
이미수 집사는 2022년 6월, 전 남편의 흉기 공격으로 목숨을 잃었다. 함께 있던 옛 처남댁도 희생됐고, 처남 역시 큰 부상을 입었다. 이 사건은 가정폭력과 이별 범죄의 심각성을 알리며 사회에 충격을 줬다. 법원은 이를 ‘계획적 이별 범죄’로 판단해 1심에서 징역 45년, 항소심에서는 무기징역을 선고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비극 속에서 모 기독교 언론은 가해자 A씨가 주장한 ‘종교 문제’를 근거로 “전처가 신천지(예수교회)에 빠져 자녀를 돌보지 않았다”는 식의 왜곡 보도를 이어갔다. 특히 해당 언론은 피의자에게 종교 문제를 범행 동기로 유도하는 질문을 직접 던지고 이를 사실인 양 보도해, 의도적 편파 보도와 왜곡 보도의 심각성을 드러냈다.
그러나 법원은 해당 사건을 ‘계획적인 이별 범죄’로 명확히 판단했으며, 수사기관과 전문가들 역시 “이 사건은 이혼과 양육 문제 등 복합적인 가정 불화에서 비롯된 개인적 폭력 사건”이라고 지적했다.
신천지예수교회는 사건 초기부터 이러한 편파 보도를 강력히 규탄하며 정정보도와 사과를 요구했으나, 1심과 2심 재판 보도에서도 가해자의 ‘종교 때문’이라는 주장이 반복됨으로써 피해자와 유족의 명예가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다.
신천지예수교회 측은 “기성교단이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살인을 정당화하는 논리는 결코 용납할 수 없으며, 피해자를 ‘가정을 깬 가해자’로 몰아가는 보도는 명백한 2차 가해”라고 강력히 비판했다.
16일 신천지예수교 도마지파 故 이미수 집사를 위해 방명록에 남긴 추모글
사건 당시 온라인상에는 ‘신천지 때문’이라는 살인을 정당화 하는
댓글이 확산되며 고인과 유족, 그리고 교인들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다.
최중일 도마지파장은 “무고한 생명이 희생되는 비극은 어떤 이유로도 있어서는 안 된다”며 “이번 사건은 이별 문제로 가족에게 흉기를 휘두른 참담하고 충격적인 범죄이며, 그 어떤 주장도 피해자의 고귀한 생명을 정당화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수 집사는 신앙과 가정을 위해 늘 헌신하며 주변에 사랑과 온기를 전한 분으로, 그 따뜻한 마음과 밝은 미소가 우리 모두의 기억 속에 오래도록 남아 있을 것”이라며 “고인의 명예를 회복하고, 앞으로 이런 비극이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우리 사회가 함께 고민하고 연대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신천지 도마지파 관계자는 “故 이미수 집사 3주기는 단순한 추모를 넘어, 종교가 다르다는 이유로 생명을 위협하는 폭력과 가해자의 왜곡된 주장에 휘둘리지 않는 사회가 돼야 함을 되새기는 자리”라며 “우리는 어떤 이유로도 생명을 경시하거나 가해자의 편에 서는 일이 없어야 하며, 진실에 기반한 보도와 인권 존중이 우리 사회의 기본 가치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시간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 제공 = 신천지예수교 도마지파]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