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럼에서는 집중호우, 우‧오수 역류로 인한 도시 침수, 도로·하천 유실 등 기후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관로시설 관리‧개선 대책과 신규사업 발굴 방안을 모색했다.
최근 경북지역에서는 경주 세월교·잠수교 침수, 포항 도심 및 지하차도 침수 등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가 반복되고 있고, 이러한 사례들은 관로시설의 관리 문제가 단순한 생활 불편이 아니라 도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된 중대한 문제임을 보여주고 있다.
포럼은 오재일 중앙대학교 교수가 노후 하수관로 붕괴와 지반침하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했다.
이어 류재나 한국환경연구원 실장이 도시 침수의 최근 발생 양상을 제시하고 기후변화 시대에 하수도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관로시설 개선의 정책적 과제를 설명했다.
주제발표 이후 진행된 전문가 패널토론에서는 김두일 대한상하수도학회 부회장이 좌장을 맡고 김병현 경북대학교 교수, 이원태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교수, 김희철 경북연구원 연구위원, 오재일 교수, 류재나 실장이 참여해 관로시설 개선과 신규사업 발굴을 위한 다양한 의견과 정책 제안을 공유했다.
특히 노후 관로시설 정비를 위한 우선순위 선정 방법, 도시 침수 예방을 위한 구조적 대책으로서 하수도 정비 중점 관리지역 지정의 필요성, 비구조적 대책으로서 상하수도 제반 시설의 운영 방안 개선계획 수립 등 구체적인 대책이 심도 있게 다루어졌다.
경북도는 이번 포럼을 통해 도시 침수와 관로 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을 구체화하고, 관로시설 개선을 위한 정책과 연구과제를 발굴하며, 산‧학‧연‧관의 협력체계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강병정 경상북도 맑은물정책과장은 “이번 포럼을 통해 제시된 다양한 의견과 제안이 우리 도의 정책과 사업에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도민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생활환경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