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지원보다 선제적으로 준비하여 예방하자

이영진 기자 / 기사승인 : 2019-02-11 15:59:32
  • -
  • +
  • 인쇄
▲ 

 

[포천=세계타임즈 이영진 기자] 최근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의 영향과 건조한 날씨로 강수량이 감소함에 따라 산불 발생 건수도 증가했다. 산림청에 따르면 올 1월에만 104건의 산불이 발생했고 1월에 100건이 넘는 산불은 올해가 처음이라고 한다.

 
이처럼 산불이 발생하게 되면 수년에서 수백 년간 성장하며 산사태 등 각종 재해시 우리를 든든하게 보호해 주었던 산림이 잿더미로 변하게 된다. 이는 여름철 강우량이 집중되는 우리나라에겐 치명적이다.


 지난 1월 18~21일까지 1기갑여단 책임지역인 영평사격장에서 나흘 간 발생한 산불도 빠질 수 없다. 당시 출동한 군 헬기와 산림청, 소방헬기만 12대로 총 30ha의 산림이 훼손되었다.


영평훈련장 관리 책임부대인 여단에서도 완전 진화를 위해 전 장병이 현장으로 출동하였다.


하지만 설상가상으로 인력이 진화를 할 수 없는 최악의 환경이었다. 수풀은 우거져 있었고 산지엔 각종 장애물이 즐비했다. 지휘관인 내가 먼저 투입로를 따라 정상부분에 오르면서 도저히 장병들이 투입할 수 없는 지역이라고 판단, 현장에서 철수 명령을 내려야만 했다.

 
우리 軍전체적으로 보면 이번뿐만이 아닐 것이다. 특히 재난 현장에 손길이 필요한 곳이면 어디든 달려가야 하는 군 특성상 지역에서 발생하는 산불진화를 위해 늘 준비하며 상황 발생 시 출동한다.


 하지만 이제는 지원보다 예방을 먼저 하는 軍이 되어야 한다. 국가의 안보지킴이로서 산불을 방관하지 말고 먼저 적극적인 감시와 순찰을 통해 예방한다는 역발상적 생각이 필요한때이다.


 그럴 때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선제적으로 안전하게 지킬 수 있으며, 화재 현장으로 달려가는 인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임도(林道)개설에 적극적으로 나서야한다. 2017년 말 기준 현재 우리나라의 임도밀도는 3.3/1만㎡ 로 독일(46/1만㎡), 오스트리아(45/1만㎡) 등 선진국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특히, 숲이 우거지고 낙엽 등 가연물질이 많이 쌓여있는 우리나라 산림 특성상 한 번 발생하면 진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력과 산불진화차량 등 장비가 쉬이 접근 가능하도록 임도개설이 절실하다.


 산불, 적극적인 사전 예방활동과 임도개설만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임을 명심하자.

 

육군 제1기갑여단

김창수 / 준장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