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타임즈 심귀영 기자]지난 7월 전국 토지 경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8년여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높은 주거시설 낙찰가율에 피로감을 느낀 투자자들이 토지로 눈을 돌린 것으로 분석된다.
10일 경매 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7월 전국 토지 경매는 4000건이 진행돼 이중 1777건이 낙찰됐다. 낙찰가율은 전월대비 3.8%포인트 상승한 80.9%를 기록했다.
토지 낙찰가율이 이처럼 80%선을 넘어선 것은 지난 2008년 10월(83.2%) 이후 8년9개월만에 처음이다. 낙찰률(진행건수 대비 낙찰 비율)도 44.4%로 2005년 8월 47.1%를 기록한 이후 11년11개월만에 가장 높았다.
이는 주거시설 경매 낙찰가율이 과도하게 높아지자 상대적으로 낙찰가율이 낮은 토지로 투자자들이 눈을 돌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귀촌 열기가 이어지면서 주말주택 및 농장, 은퇴이후 주거 등 다양한 목적으로 토지 구매가 이어진것도 한몫했다.
토지 낙찰가율은 수도권이 73.4%, 지방광역시가 100.6%, 도단위 지방은 85.9%로 집계됐다. 특히 대구가 160.7%로 가장 높았다. 제주 118.4%, 대전 110.3%, 전남 100.6% 등도 높게 나타났다. 세종시는 66.6%로 가장 낮았다.
반면 주거시설 낙찰가율은 하락세다. 주거시설 평균 낙찰가율은 전월대비 1.0%포인트 하락한 88.8%를 기록했다. 지난 5월 90.7%로 최고점을 찍은 뒤 2개월 연속 하락세다.
업계에서는 8·2대책이 나온 만큼 향후 추가 하락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업무상업시설 낙찰가율도 전월대비 0.9%포인트 하락한 63.9%에 그쳤다. 이는 지난 2016년 6월 이후 1년1개월만에 최저치다.
수익형부동산 경매에 대한 기대치는 높지만 대다수가 권리관계가 복잡하고, 수익이 보장되는 물건은 한정적인 상황이다. 이에 낙찰가율이 계속 조정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창동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이번 부동산대책이 주택을 중심으로 하는만큼 토지 낙찰가율은 앞으로 더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며 "응찰자가 많이 몰리는 사례를 분석한결과 토지경매에 실수요자들이 많이 몰리고 있어 일반 부동산경기에 크게 좌우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