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복 업무를 로봇이 대신…최대 67% 업무시간 절감 효과
- 올해 5건 신규과제 발굴, 생성형 AI 접목으로 ‘지능형 행정자동화’ 단계 진입

[서울 세계타임즈=이장성 기자] 서울시는 인공지능(AI)과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를 결합한 ‘지능형 행정자동화’ 체계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서울시는 2021년부터 RPA 도입해 행정 효율화를 추진해왔다. 보고서 취합, 감염병 통계 DB 구축, 물가정보 조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해 총 13건의 행정업무를 자동화했으며 업무시간을 최대 67%까지 단축했다.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는 사람이 컴퓨터로 수행하던 반복 업무를 소프트웨어 로봇이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술이다. 서울시에 도입한 이후 매달 2,000시간 이상을 로봇이 처리하는 등 행정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됐다.
서울시는 올해부터 하이퍼클로바X, ChatGPT 등 생성형 AI 기술을 RPA에 접목해 단순 자동화를 넘어 문서 요약·데이터 정리 등 비정형 업무까지 자동화하는 단계로 진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청소년 가출 게시글 대응 시스템’은 청소년정책과에서 운영하는 사이버 상담 지원체계에 적용된 사례다. 그동안 직원이 직접 포털 게시판을 모니터링해 가출 징후가 의심되는 글을 선별하고, 상담 안내 문구를 일일이 입력해야 했다. 이제는 RPA가 관련 게시글을 자동 수집·분류하고, AI가 내용의 감정·상황을 분석해 맞춤형 상담 문안을 생성한다. 이를 통해 24시간 게시글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됐고, 청소년 보호기관의 초기 대응 속도도 크게 향상됐다.
‘공공데이터 학습자료 자동수집 시스템’은 행정 내부에서 생성되는 공개문서를 AI 학습용 데이터로 가공·관리하기 위한 기반이다. RPA가 정보소통광장 등 공공데이터 사이트에 주기적으로 접속해 문서와 메타데이터를 자동 수집 및 기록하여 이를 관리한다. 담당자가 수작업으로 다운로드·분류하던 시간을 월 200시간 이상 절감했으며, 행정데이터를 AI를 위한 학습데이터로 전환하는 자동화 체계가 구축됐다.
이처럼 AI와 RPA의 결합은 행정문서 처리, 통계작성, 내부 보고 등 비정형 행정정보 처리 영역까지 확장되며, 서울시가 지향하는 ‘지능형 행정’의 실질적 변화를 이끌고 있다.
한편 서울시는 올해 전 부서를 대상으로 한 RPA 설명회를 열고 ▲공공데이터 학습자료 자동수집 ▲연말정산·보험료 정산 자동화 ▲전기 관련 행정처분 현황 관리 ▲소득자료 분류 및 원천징수 관리 등 총 5건의 신규 과제를 추가 발굴했다.
5개 신규 과제의 경우 기존에 사람이 직접 하면 월 1,130시간(5개 합산)이 소요되던 업무를 538시간으로 줄이는 성과를 거두었는데 이는 전체 업무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약 3명분의 인력을 로봇이 대신한 셈이다.
신규 과제 중 ‘연말정산 자동화’는 디지털 안내사 등 현장 근로자의 급여·보험 데이터 정산 과정에 RPA를 적용한 사례다. 연말마다 반복되는 수작업 입력을 자동화해 행정 오류를 줄이고 처리 속도를 대폭 향상시켰다. 특히 이 시스템은 공원관리, 환경미화, 안전관리 등 다른 현장근로자 관리 부서로도 확대 적용이 가능해, 인사·급여 분야의 행정효율을 전 부서로 확산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AI와 로봇이 반복업무를 대신하고, 공무원은 기획·분석 등 창의적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사람 중심의 지능형 행정환경’을 만들어가겠다”며 “행정자동화는 인력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은 행정을 위한 디지털 혁신의 기반”이라고 말했다.
<참고 : 서울시 RPA 구축 현황>
연번 | 과제명 | 주요 내용 | 월 수행시간 |
① | 코로나19 확진자 DB 구축 | 확진자 DB 최신화 | 429시간 |
② | 온라인 물가정보 조사 자동화 | 온누리시장·네이버 데이터 자동 수집 및 입력 | 400시간 |
③ | 청소년 가출 게시글 대응 시스템 | 가출 관련 게시글 자동 수집 및 AI 상담문 작성 | 320시간 |
④ | 공공데이터 학습자료 자동수집 | 행정공개문서 자동 수집 및 관리 | 200시간 |
⑤ | 현장민원 자동 배분 | 120콜센터 민원 접수 자동 분류·배정 | 200시간 |
⑥ | 검색 통한 문서 수집 및 요약 | 검색자를 활용한 문서 수집 및 요약을 통한 보고서 생성 | 160시간 |
⑦ | 보고서 자동 취합 시스템 | 다부서 보고서 자동 통합·정리 | 70시간 |
⑧ | 전기 관련 행정처분 현황 관리 | 행정처분 문서 자동 입력·업체별 현황 관리 | 60시간 |
⑨ | 비전자문서 접수 자동화 | 경매 송달문서 OCR 인식 후 자동 등록 | 83시간 |
⑩ | 감염병 통계 DB 구축 | 법정감염병 감시자료 수집·통계 자동작성 | 18시간 |
⑪ | 기타·사업소득 원천징수 관리 | 소득내역 자동 분류 및 정산 내역 수집 후 관리 | 18시간 |
⑫ | 디지털 안내사 연말정산·보험정산 자동화 | 급여·보험데이터 자동 처리 및 연말정산 생성 | 100시간 |
⑬ | 복지포인트 자동 문자발송 | 복지포인트 차감신청 시 자동 문자 발송 시스템 | 100시간 |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