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약시설 중심 안전점검 ▲화재 취약계층에 화재안전관리 지원 강화 ▲대시민 화재안전 홍보 등 내용 담겨
◈ 시, 소방 구군 등 유관기관과 함께 예방점검에 철저를 기하고 대피계획을 꼼꼼히 세워 인명패해 최소화하도록 노력할 예정
[부산 세계타임즈=이용우 기자]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화재 위험 요인이 증가하는 겨울철을 맞아 「겨울철 대비 화재안전대책」을 수립해 오는 12월부터 내년 2월까지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난방용품 등 화기의 사용이 늘어나고 건조한 날씨가 계속 되는 등 화재 위험 요인이 증가하는 겨울철을 맞아 화재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 등을 예방하고자 마련했다.
이번대책은 크게 ▲취약시설 중심 안전점검 ▲취약계층과 노후아파트 등에 대한 화재안전관리 지원 강화 ▲대시민 화재안전 홍보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안전점검] 먼저 시의 시설별 소관부서와 구‧군, 소방 등 각 기관이 자체적으로 소관시설에 대한 화재 예방 점검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12월부터 이 계획에 따라 자체 점검을 실시하며, 일부 시설에 대해서는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합동점검을 추진할 계획이다.
![]() |
▲ 합동점검 사진(주거용 비닐하우스, 2025년 2월) |
중점 점검대상은 전통시장, 노후공동주택, 요양원, 다중이용시설, 주거취약시설 등 화재취약시설이며, 12월 중 노숙인복지시설 2개소, 요양병원 2개소, 요양원 1개소, 복지관 3개소에 대해 시·구(군) 민간전문가가 참여한 합동점검을 통해 점검의 내실화를 기할 예정이다.
[화재안전관리 지원 강화] 또한 ▲자력 대피가 어려운 화재 피난약자를 위한 '화재 대피 안심콜' 조기 안착 ▲노후 아파트에 거주하는 취약계층에 전기·화재 안전용품 보급을 추진한다.
‘화재 대피 안심콜’은 돌봄아동, 노약자, 장애인 등 자력 대피가 어려운 화재 피난약자가 안심콜에 연락처를 등록하면 화재 시 일제히 전화나 문자로 화재 사실을 전파하고, 정확한 세대 파악 시에는 상황 요원이 직접 전화해 대피를 안내한다.
또한 화재 발생 위험이 높은 노후아파트 거주 취약계층 등에 자동소화멀티탭, 콘센트용 소화 스티커 등 전기·화재 안전용품 보급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화재 예방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대시민 화재안전 홍보] 이외에도 인명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다중이용시설, 아파트 등 공동주택 화재대피요령을 지속적으로 홍보를 시행한다.
화재위험 3대 제품인 전기장판, 히터, 열선에 대한 안전사용 강화를 지속적으로 홍보하여 자칫 부주의로 인한 화재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한편, 시에서는 지난 14일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 주재로 ▲관련 실·국 ▲16개 구·군 부단체장 ▲부산교통공사 ▲전기안전공사 ▲가스안전공사 등 유관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겨울철 대비 다중이용시설 등 화재안전대책회의'를 실시했다.
이 날 회의에서는 노후공동주택, 산업단지, 다중이용시설 및 구군별 취약시설 등 화재취약시설에 대한 예방 대책 및 아동, 노약자 등 화재취약계층에 대한 안전관리대책을 발표 점검하였으며, 이에 따른 후속 조치로 본 대책을 수립 추진하게 되었다.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은 “최근 곳곳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한 시민들의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도록, 우리시는 소방, 구‧군과 함께 화재취약시설 등에 대한 예방점검을 철저히 하고 각 시설 별 대피계획을 꼼꼼하게 살펴 화재로부터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비하겠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