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즈 착색 농도는 60~80%가 무난해
-자외선 차단은 `퍼펙트 UV’ 기능 유무
선글라스를 써야 할 일이 많아진 봄철이다. 눈 건강을 위협하는 자외선, 황사가 눈에 침투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봄엔 길어진 낮과 활발한 야외활동으로 이들 유해 물질에 노출될 빈도가 크다.
![]() |
▲ |
선글라스는 주로 렌즈에 컬러 기능을 넣는 안경으로, 렌즈 컬러의 농도에 따라 가시광선을 차단해 눈부심을 줄여주는 원리지만 렌즈 농도가 짙다고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니다. 선글라스 농도가 너무 짙으면 활동하기 불편할 뿐 아니라 시각이 둔해져 안전사고 위험도 높아진다. 또 시야가 어두워져 동공이 확대되면 눈의 피로와 부담이 높아지고 자외선의 침투율도 높아져 오히려 눈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안과 의사나 안경렌즈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착색 농도 60~80% 정도면 무난하다고 보고 있다.
선글라스는 눈부심 차단 외에 자외선(UV)을 막는 역할 또한 중요하다. 선글라스 렌즈의 색이 검다고 자외선을 100% 차단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선글라스의 자외선 차단 유무는 물론 차단 능력치까지도 꼼꼼하게 확인해봐야 한다. 자외선을 최대 파장대 400나노미터에서 99.9% 이상 완벽하게 차단하는 `퍼펙트 UV` 안경렌즈의 기능이 있어야 선글라스 용도로 효과적이다.
케미렌즈 관계자는 “시중의 UV 차단 선글라스 중에는 자외선 최고 파장대에서는 부분 차단에 그치는 제품들이 많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자외선을 최고 파장대 400나노미터에서의 완벽하게 차단 할 수 있는 `퍼펙트 UV’ 기능이 눈 건강을 위해서 중요하다”고 말했다.
선글라스는 황사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데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 렌즈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크고 넓은 선글라스가 눈과 눈 주변을 감싸 황사의 차단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다. 또한, 사이즈가 큰 선글라스는 얼굴에 반사돼 눈에 들어오는 자외선을 막는데도 유리하다. [세계타임즈 조원익 기자]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