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타임즈 = 양준호 기자]더불어민주당 서동용 의원(순천광양곡성구례을,사진)은 27일 "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의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지역 인재 육성을 위한 대책은 거북이 걸음"이라며 "철저한 관리.감독을 통해 수도권 집중 현상을 막고, 지역의 가능성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계열별로는 의학 계열이 가장 많은 5 곳 이었고, 그 다음으로 한의학 계열이 4 곳이었다.
또 약학 계열은 2 곳이 지키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의대의 경우, 동국대(경주)가 55 명 중 13 명 만을 지역 인재로 선발해 23.6 %, 울산대도 40 명 중 10 명 만 선발해 25.0 % 에 그쳤다.
또 인제대 27.6 %, 연세대(원주) 14.6 %, 가톨릭관동대 13.8 % 등 이었다.
한의대 역시 동국대(경주)가 선발 기준에 미달한 20.0 % 만을 지역 인재로 선발했다.
이외에도 상지대 9.5 %, 세명대 25.0 %, 동신대 29.5 % 등에 머물렀다.
약학대는 고려대(세종) 20.9 %, 우석대 29.6 % 였다.
서 의원은 "문제는 일부 대학에서 수년 간 반복적으로 지역 인재 선발 비율을 지키지 않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의대의 경우 동국대(경주)와 울산대가 지난 2018학년도부터 2022학년도까지 5년 간 한번도 지역 인재 선발 비율을 지키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연세대(원주)도 2019학년도부터 2022학년도까지 4년 간 의무 비율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을지대는 3 년, 인재대.대구가톨릭대는 2년 간 지역 인재 선발 비율을 준수하지 않았다.
한의대의 경우는 동국대(경주), 세명대, 상지대가 5년 동안 연속으로 지역 인재 선발 비율을 준수하지 않았으며, 대전대는 2018학년도부터 2021학년도까지 4년 간 지키지 않았다.
치대는 강릉원주대가 2018학년도부터 2021학년도까지 4년 간 선발 비율을 준수하지 않았고, 약대는 고려대(세종)가 5년 간 선발 비율을 준수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동국대(경주)와 울산대는 2021년 의대 정원을 승인 받은 울산과 경주가 아닌 서울과 경기에서 미인가 학습장을 운영하고 있다는 사실이 교육부 조사 결과 밝혀진 바 있다.
서 의원은 "승인 받을 당시 지역 의료인력 양성을 전제로 의과대학 정원을 받았지만, 학생 선발도 학교 운영도 결과적으로 지역 인재 육성과 지역 보건의료 발전과는 무관하게 운영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서 의원은 또 "2023학년도 입시부터는 그간 권고로 적용되던 지역 인재 입학 비율이 상향되는 것은 물론, 권고에서 의무로 전환된다"며 "그러나 이를 어겨도 정원 감축 등 벌칙에 관한 규정이 명확하지 않고, 의무 비율도 시행령으로 하향할 수 있어 지역 인재 선발 비율이 높아지지 않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세계타임즈 / 양준호 기자 news@thesegye.com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