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일훈 칼럼> 신라 화랑도의 상무정신과 일본 무사도의 기원을 묻다(1)

조원익 기자 / 기사승인 : 2018-06-07 10:22:03
  • -
  • +
  • 인쇄

 신라시대의 화랑세기는 선도(仙道), 무도(武道)라는 용어 이외에도 특정한 무도의 측면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화랑세기가 7세기경에 서술됐다면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무사도라는 문구의 발생지는 일본의 무사도가 아니라 신라에서 발생한 무사도로 봐야 한다〔신라의 仙은 ‘仙徒의 선’으로 원래 이들은 신궁에서 신에게 봉사하는 무리들이었다. 옛날에 선도는 당지 신을 받드는 일을 주로 하였는데 國公들이 신을 받들기 시작한 후부터 선도들은 도의를 서로 힘썼다.(古者仙徒只以奉神爲主 國公列行之後 仙徒以道義相勉 於是賢佐忠臣 從此而秀 良將勇卒 有是而生.) 그들은 나라가 위급하면 전쟁터에서 나라를 위해 싸우기도 하는 그런 전사단적인 仙이기도 했다. 이것은 ‘護國仙’, ‘武道’, ‘劍道’란 용어가 이들 선과 결합되어 있다는 데서도 분명하게 나타난다(이진수, 동양무도연구, 한양대 출판부, 2004). 이제까지 우리들은 무사도의 발생지가 무도 문화를 발전시켜 전래한 나라를 일본이라 믿고 있었다.

 


 신라시대의 위대한 유산으로 화랑세기에 나타나는 ‘상무정신’과 ‘무사도’를 꼽을 수 있다. 이 위대한 유산을 바탕으로 삼국을 통일한 신라는 우리민족의 초석이 되었으며 민족단일공동체 결집의 장이 됐다.

 
 그렇다면 신라는 어떻게 상무와 무사도의 사상을 탄생시켰는가! 신라인들은 그들의 고유한 무도를 통해 무사들의 무사도를 완성시켜 왔다. 그것은 바로 화랑도라는 청소년 전사 집단의 무도교육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일본인들의 정신적, 육체적 기상은 어디서 어떻게 나온 것인가! 그들의 사상적 바탕은 바로 일본 문화 속에 뿌리 잡고 있는 사무라이(武士道) 정신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면 일본의 사무라이(武士道) 정신은 어떻게 탄생한 것인가!


 일본 최초의 무사인 가마쿠라 막부(1198) 시기에 일본 천태종(天台宗)의 좌주(座主)였던 자원(慈圓)은 그의 저서 우관초(愚管抄)에서 무사를 일본어 발음인 무샤(ムサ)가 아니라 한국어의 발음 그대로인 무사라고 표기했다. 이에 대한 학설을 주장하는 대표적 학자로는 일본 사학자 다께우치(竹內理三)를 들 수 있다. 그가 언급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께다 가문에는 신라사부로(新羅三郞)라는 무사였다. 그는 신라사부로(新羅三郞)라는 성 썼는데, 원래 그의 본명은 미나모토(源)씨이다. 미나모토 요시미쓰는 본인의 성을 왜 신라사부로(新羅三郞)로 바꿔 쓴 것일까!


 이는 일본 오미(近江)지방의 비와 호수변 도시 오쓰(大津)의 사찰 이이데라(三井寺)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미나모토 요시미쓰(源義光)는 자신이 『신라계도래인(新羅系渡來人)』임을 자랑하기 위하여 이름 앞에다가 신라삼랑(新羅三郞)이라 개명 하였는데(『주간동아』, 다께다 신겐 조상은 ‘미나모토(源)’라는 성을 썼는데, 미나모토 요시미쓰(源義光)는 신라명신(新羅明神)의 신라선신당(新羅善神堂) 앞에서 성인식을 치르고 성을 신라사부로(新羅三郞)로 바꿔 ‘신라사부로 요시미쓰’가 됐다).


 특히 무사도라는 용어의 사용은 한국과 일본에서 전승되어 내려온 여러 『무도전서(武道傳書)』가 변천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상호보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그 시조인 신라시대의 화랑세기에 나타나는 무도의 도가 일본의 그것과 내용이 같다면 상무정신과 무사도는 신라에서 발생 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무인들은 무도를 통해 인격을 형성시킨다는 보편적인 이념을 그 밑바탕에 깔고 있다. 우리는 화랑도에 대한 연구를 통해 분명히 우리의 무사도에 관한 기원에 대해 알아야 하며 이를 바로 정립할 의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주체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일본의 무사도정신과 신라시대의 상무정신, 그리고 무사도의 기원에 관한 비고·분석을 통하여 그 사상적 의의를 밝히고 또 신라시대의 연결성을 찾아 그 전통성을 규명하고자 이번 칼럼에서 연재한다.
 송일훈 박사(동아시아 무예전쟁사·문화교류정책 평론가)
전)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전)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 연구교수
현)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 전임연구원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조원익 기자 조원익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