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회재 의원 "코로나19, 저소득층에게 더 큰 재앙"

양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2-07-24 10:17:41
  • -
  • +
  • 인쇄
'사망자 수, 소득하위 10%가 상위 10%의 2배 이상'

[세계타임즈 = 양준호 기자]코로나19 사망자 수는 소득 하위 10%가 상위 10%의 2배 이상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 코로나19 내원 환자 중 30일 이내 사망자 971 명 가운데 20%는 소득 하위 10%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여수을,사진)은 24일 "허울 뿐인 과학방역을 핑계로 국가의 책무를 방임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날 김회재 의원이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코로나19 상병 의료기관 내원환자 및 사망자 현황'에 따르면 코로나19 최초 발병일인 지난 2020년 1월 20일부터 올해 5월 31일까지 코로나19로 의료기관을 내원한 직장가입자는 약 480만 명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30일 이내 사망자는 971 명으로 전체 코로나19 의료기관 내원환자의 0.02% 수준이다.

건강보험공단은 "자료 분석의 한계로 직장가입자만을 기준으로 코로나19 내원환자 및 30일 이내 사망자 현황을 분석했다"며 "이에 따라 실제 코로나19 환자 및 사망자수와는 차이가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자료에 의하면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하위 10%인 1 분위 코로나19 내원환자의 30일 이내 사망자 수는 199 명으로, 소득 상위 10%(10분위)의 93 명 대비 2.14 배 수준이었다.

소득 2 분위(하위 10~20%)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123 명, 3 분위(20~30%) 사망자 수는 96 명으로 역시 다른 소득분위보다 사망자 수가 많았다고 의원실은 밝혔다.

또한 코로나19 내원환자 10만 명 당 30일 이내 사망자 수는 1 분위가 44.3 명으로 10 분위(19.2 명) 대비 2.31 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내원환자 10만 명 당 사망자 수(20.2 명)와 대비해도 2 배 이상 높은 수치다.

아울러 소득 2 분위 내원환자 10만 명 당 사망자 수는 27.0 명, 3 분위 내원환자 10만 명 당 사망자 수는 19.8 명이었다.

김 의원은 "광범위한 코로나19 감염 속에서도 소득이 낮을수록 사망자 수가 많이 나타나, 소득 불평등이 건강 불평등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저소득층 일수록 생활상의 문제로 의료기관 내원을 꺼리고, 검사와 치료를 기피할 수 있어 실제 상황은 더 심각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뿐만 아니라 7월 11일 이후 확진된 재택치료자들에 대한 비대면 진료비와 약값 등 의료비 지원도 중단되면서 저소득층의 부담이 가중될 우려를 낳고 있다.

김 의원은 "저소득층에게 코로나19는 더 큰 재앙으로 다가왔다"면서 "하지만 윤석열 정부는 국가의 최소한의 의무도 하지 않은 채, 국가재난 상황을 알아서 극복하라는 식의 '각자도생의 장'으로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과학방역을 핑계로 국가의 책무를 방임하지 말고, 진단과 격리, 치료 등 코로나19 대응 전 단계에서의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타임즈 / 양준호 기자 news@thesegye.com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양준호 기자 양준호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