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 경제성 검토(VE, Value Engineering)는 전문가들이 일정 규모 이상 건설공사의 설계단계에서 주요 기능과 성능을 분석하고 경제성·시공성·안전성·편의성 등을 보완해 시설물의 성능을 높이는 것이다.
울산시는 법적 의무대상인 총공사비 100억 원 이상의 공공건설공사 뿐만 아니라 지난해 7월부터 총공사비 50억 원 이상의 공공건설공사에 대해서도 설계 경제성 검토를 확대 운영하고 있다.
그 결과 지난 2022년 7건 123억 원 절감하던 것을 지난해에는 11건 137억 원 절감, 올해는 16건 323억 원의 예산을 절감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올해 주요 절감 사업은 ▲청량하수처리시설 건설사업(50억여 원) ▲국지도 69호선 개량사업(35억여 원) ▲강동해안공원 조성사업(11억여 원) ▲회야댐 도수관로 가압장 설치사업(8억여 원) 등이다.
울산시는 예산 절감과 함께 분야별 전문가들이 제안한 창의적 제안 598건을 반영해 시설물의 가치를 향상하는 성과도 거두었다.
우수제안으로 청량하수처리시설 건설사업의 단일 유입조.분배조는 하수의 지속적 유입 시 차단 방법이 없어 타 처리시설에서도 유지보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전문가 제안을 반영, 유입분배조 설치에 1억여 원의 예산을 추가해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 및 유지관리를 용이 하도록 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지금까지 축적된 운영성과를 바탕으로 내년에도 시민들이 느끼고 체감할 수 있는 편리하고 고품질의 시설물이 조성될 수 있도록 설계 경제성 검토(VE)의 내실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