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올해는 여름철 이상고온과 집중호우로 병해충 발생이 증가한 만큼 생육이 왕성하고, 결구가 시작되는 현재 시기에 방제와 재배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무름병은 잎의 밑둥이 물러지면서 잎의 담갈색 내지 회갈색의 병변이 위로 확산되며, 감염부위는 썩으면서 심한 악취를 동반해 다발생하면 농가에 큰 피해를 준다.
노균병은 기온이 낮고 강우가 잦을 때 주로 발생하며, 물빠짐이 나쁜 밭이나 생육 후기 비료기가 떨어진 포장에서 많이 나타나므로 재배 중 배수로 정비 및 추비 처리를 잘해야 한다.
두 병원균은 병든 식물의 잔재나 토양 속에 존재하다가 다음해에도 병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병든 포기는 조기에 제거하고, 적용약제를 적기에 살포하는 것이 중요하다.
벼룩잎벌레와 진딧물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만큼 빠르게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해충들이 가해한 상처를 통해 무름병, 바이러스병 등 각종 병이 전염되기 때문에 초기 발견 시 적용약제를 사용해 방제해야 한다. 진딧물은 잎이 포개지는 작물인 배추, 상추 등에서는 방제가 쉽지 않아 초기방제가 아주 중요하다.
방제 시에는 수확 전 안전 사용횟수와 사용가능 시기를 준수해 농작물을 안전하게 관리해야 한다.
도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 안정생산을 위해 병해충 정밀 예찰과 진단을 통해 발병 초기에 적절한 약제 살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적기에 방제 조치를 취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농가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대구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